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04-12 05:55
관리 메뉴

everyday-coin 님의 블로그

도널드 트럼프 새로운 관세 정책 : 기본 10%, 중국·EU 등 130여개국 추가 관세 발표 : 본문

정치

도널드 트럼프 새로운 관세 정책 : 기본 10%, 중국·EU 등 130여개국 추가 관세 발표 :

everyday-coin 2025. 4. 3. 07:12
728x90
반응형
SMALL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 시간)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새로운 관세 정책을 발표했다.

이날 발표는 월가의 예상보다 훨씬 높은 관세율이 적용돼 시장에 충격을 줬다. 다음은 핵심 내용.

1. 미국으로 들어오는 모든 수입품에 대해 기본 10%의 관세를 부과.

2. 백악관은 특정 국가를 ‘최악의 범죄국’으로 지목하며, 이들 국가에는 추가적인 높은 관세를 적용. 중국에는 34%, 유럽연합(EU) 제품에는 20%, 베트남 제품에는 46%의 세율이 적용. 한국은 25%.

3. 관세는 두 단계로 시행. 기본 10% 관세는 4월 5일 토요일 자정 이후부터 적용되며, 고율의 추가 관세는 4월 9일 오전 12시 1분부터 발효.

4. 캐나다와 멕시코는 이번 조치에서 제외. 이들 국가는 이미 마약 밀매와 불법 이민 문제로 인해 25% 관세를 받고 있음. 해당 관세가 유지되는 동안에는 이번 새로운 관세 체계에서 면제.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에 포함된 제품도 예외로 두면서, 캐나다와 멕시코의 보복 가능성을 줄임.

5. 유럽연합은 보복 관세를 포함한 대응 계획을 준비 중이라고 밝힘.

6. 전 세계적인 반발이 예상되는 가운데, 미국 금융시장도 부정적인 반응을 보임. S&P 500과 나스닥 100 선물지수는 발표 이후 하락했고, 자동차와 유통업체 주가는 전반적으로 약세를 나타냈음. 비트코인은 8만8000 달러 선까지 상승 후 8만4000 달러대로 급락.

 

미국 정부가 발표한 새로운 관세 조치가 글로벌 평균 20% 수준에 달하면서 시장에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이번 조치는 시장이 우려했던 최악의 시나리오와 맞먹는 수준으로 평가됩니다.

현지시간 2일, 글로벌 투자은행 바클레이스(Barclays)는 이번 관세 발표에 대해 “가중 평균으로 계산할 경우 글로벌 20% 관세에 해당하며, 이는 사실상 시장이 우려하던 가장 높은 수준”이라고 분석했습니다. 블룸버그는 미국 정부가 20%를 목표로 설정하고, 각 국가별 세율을 역산해 적용했을 가능성을 제기했습니다.

국가별 관세율을 살펴보면, 중국 34%, 대만 32%, 한국 25%, 유럽 20%에 달하며, 베트남은 무려 46%의 상호관세를 부과받았습니다. 반면 캐나다와 멕시코는 이번 리스트에서 제외됐습니다.

관세 발표 직후 시장은 일시적으로 반등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국가별 세부 내용이 공개되면서 급락세로 전환되었습니다. 블룸버그는 시장의 급락을 ‘윌리 코요테 순간’에 비유하며, 투자 심리가 급속히 위축된 상황을 묘사했습니다.

일각에서는 이번 조치가 협상의 시작점일 뿐이며, 미국이 고율 관세를 일단 선언한 후 협상을 통해 조정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당장은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는 것이 중론입니다.

한편, 암호화폐 시장도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 이후 크게 흔들렸습니다. 관세 발표 전 불확실성 해소 기대감으로 상승했던 암호화폐 시장은 발표 후 높은 관세율이 구체적으로 드러나면서 하락세로 전환되었습니다.

3일 오전 6시 기준 암호화폐 시장 시가총액은 2조 7300억 달러로 하루 전보다 0.14% 감소했으며, 거래량은 1019억 달러로 31% 증가했습니다. 비트코인 도미넌스는 61.95%로 0.30%포인트 상승했습니다.

비트코인은 전일 대비 0.47% 하락한 8만 4893.47달러에 거래되고 있으며, 발표 직후 8만 8000달러까지 급등했지만 이후 8만 5000달러 아래로 떨어졌습니다. 이더리움도 1865.22달러로 2.61% 하락했으며, 상위 10위권 알트코인은 모두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암호화폐 시장이 급락한 이유 역시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관세율이 예상보다 높았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비관세 장벽을 근거로 높은 수준의 상호관세 부과를 발표했으며, 캄보디아(49%)를 비롯해 베트남(46%), 태국(36%), 중국(34%), 대만(32%), 한국(25%), 일본(24%) 등의 국가가 높은 관세율을 부과받았습니다.

 

이번 관세 조치는 글로벌 경제에 상당한 파장을 불러올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한국을 포함한 주요 수출국들의 수출 경쟁력이 약화될 가능성이 높고, 글로벌 무역 분쟁이 장기화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미국이 협상의 지렛대로 관세를 활용하고 있다는 분석도 있지만, 당장의 시장 충격은 피할 수 없습니다. 특히 금융시장과 암호화폐 시장이 동반 하락한 것은 투자자들이 불확실성을 우려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앞으로 시장은 미국 정부의 추가 발표와 각국의 대응을 주목할 것으로 보이며, 향후 협상 과정에서 일부 완화 가능성이 있는지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초대 코드를 사용하면 파이코인 네트워크에서의 성장에 기여하고, 이에 따른 보상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 초대 코드 : whitetiger1004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