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eryday-coin 님의 블로그
XRP와 유럽 디지털 결제 시장의 대전환 본문
유럽 전체 디지털 결제 시장에서 XRP 원장이 단 1%만 점유하더라도, 연간 648억 달러, 한화 약 90조 원에 달하는 유동성 흐름이
리플의 XRP 원장을 통과하게 됩니다. 이는 단순한 가정이 아니라, 리플(Ripple)이 유로화 기반 스테이블 코인을 공식적으로 발표함으로써, 실현 가능성이 높아진 수치임을 강조드리고 싶습니다.
1. 유럽 디지털 결제 시장, 단 1%가 의미하는 것
유럽의 디지털 결제 시장은 매년 수 조 유로 규모로 성장 중이며, 그 가운데 단 1%만 XRP 원장이 점유한다고 가정해도 연간 648억 달러(약 90조 원)라는 거대한 유동성이 XRPL을 통해 흐르게 되는 구조가 됩니다.
이러한 수치는 결코 과장이 아닌데요, 실제로 리플 측에서는 XRP 원장 기반으로 유로화 스테이블 코인을 발행하겠다고 공식 발표하였습니다.
발표자는 리플의 유럽 책임자인 캐시 크레독(Cathy Kracke)이며, 해당 내용은 유럽 현지 언론과 블록체인 분석기관들에 의해 빠르게 조명되었습니다.
이는 단순히 새로운 디지털 자산 하나가 나온다는 차원을 넘어서, XRP 원장이 실제 유럽 결제 인프라 안으로 들어가는 첫 관문이 열렸다는 점에서 본질적인 변화로 받아들이셔야 합니다.
단 1%의 점유율만으로도 XRP 생태계는 네트워크 기반 수요를 폭발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됩니다.
2. XRP는 왜 '거래소 코인'이라는 인식을 벗어나는가?
XRP에 대한 많은 오해 중 하나는 “그냥 거래소에서만 쓰는 코인 아니야? 수수료도 안 남는다며?” 하는 시각일 것입니다.
그러나 오늘날의 XRP는 완전히 다른 차원의 블록체인 기반 자산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이번에 발표된 유로화 스테이블 코인이 단순한 토큰이 아니라, XRP 원장 위에서 모든 기능을 풀가동하며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 탈중앙화 거래소(DEX)를 통한 실시간 환전
- 자동 결제 시스템으로 연결된 스마트 계약
- 스마트 후크(Smart Hooks)를 통한 규제 기반 자동화
- 그리고 XRP 자체를 유동성 매개자로 사용하는 구조까지
이처럼 리플 렛저에 최적화된 유로 스테이블 코인이 활성화되면, XRP는 단순한 거래소 코인이 아닌 실제 금융 생태계의 기반 자산으로 자리잡게 됩니다.
XRP는 이제부터 금융 백엔드에서 실제로 ‘돌아가는 코인’이 되는 것입니다.
3. 왜 ‘지금’ 유럽인가 – MiCA 규제와 제도 수용 시장의 힘
리플이 미국이 아닌 유럽 시장에서 본격적인 행보를 시작한 데에는 분명한 이유가 존재합니다.
그 핵심이 바로 2024년부터 본격 시행된 유럽연합의 MiCA(Markets in Crypto-Assets) 규제 프레임워크입니다.
MiCA는 유럽 전역에서 디지털 자산이 제도권 내에서 합법적으로 유통되기 위한 명확한 기준과 틀을 제공합니다.
이에 따라 스테이블 코인, 토큰화 자산, 디지털 결제 수단 등이 은행, 핀테크 기업, 기관 투자자들과 결합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습니다. 리플은 이 기회를 놓치지 않았습니다.
미국에서는 여전히 규제 불확실성으로 발목이 잡힌 상황이지만, 유럽은 이미 디지털 자산을 제도 내로 끌어들이는 환경이 마련되었기 때문입니다. 이번 유로화 스테이블 코인은 그 흐름 속에서 가장 먼저 ‘실전 배치’된 프로젝트이며, 단순 기술 실험이 아닌 제도 수용 시장에 대한 정면 공략임을 이해하셔야 합니다. 이제 XRP는 '규제 안에 들어온 자산'으로서 한층 더 강력한 확장 동력을 확보하게 되었습니다.
4. 네트워크 기반 수요 : XRP가 유동성 중심 자산이 되는 구조
이제 XRP가 어떤 식으로 실사용 수요를 발생시키는지 구체적인 예시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예를 들어 A라는 유럽 핀테크 기업이 유로화 스테이블 코인을 통해 국제 송금, B2B 결제, 실시간 환전 업무를 처리한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이 과정에서 중간 매개 자산으로 XRP를 사용하게 되면 해당 기업은 업무 특성상 일정 수준의 XRP를 반드시 보유해야만 합니다.
이런 핀테크 기업이 수십 개, 수백 개로 늘어나게 되면 어떤 현상이 벌어질까요?
- XRP는 단순한 투자 대상이 아니라
- 실제 금융 인프라 위에 얹혀진 유동성 중심 자산이 되며
- 거래소가 아닌 기업 및 기관 단위의 실사용 수요가 기반을 이루게 됩니다.
그리고 이러한 실사용 수요는 시세 변동이 아닌 기초 체력으로서의 수요 압력으로 작용하게 됩니다. XRP는 실제로 ‘필요해서 보유해야 하는 자산’이 되는 것입니다.
5. XRP 원장은 이 흐름을 감당할 준비가 되었는가?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충분합니다. XRP 원장(XRPL)은 10년 이상의 검증된 운영 이력을 보유한 고성능 블록체인입니다.
아래와 같은 특징을 이미 갖추고 있습니다.
- 초당 수천 건 이상의 빠른 거래 처리 속도
- 거의 0에 가까운 수수료
- 내장된 탈중앙화 거래소 기능
- 스마트 후크 기반의 고도 자동화 시스템
- 탄소 중립적이며 친환경적인 구조
따라서 이번 유로화 스테이블 코인은 새로운 기술 실험이 아니라, 완성된 블록체인 인프라 위에 실전용 서비스를 얹는 확장 전략이라고 보셔야 됩니다. XRP 원장은 이미 실사용 환경을 수용할 기술적 기반과 확장성을 모두 갖추고 있습니다.
최종 정리 : XRP는 지금 구조적 재평가 국면에 진입했습니다
XRP를 단기 시세나 거래소 거래량으로 판단하는 시대는 끝났습니다. 지금은 금융 백엔드로서의 실사용 기반, 제도권 인프라와의 결합 가능성, 그리고 전략적 포지셔닝에 따른 구조적 수요가 XRP의 가치를 재정의하는 시기입니다. 단 1%의 유럽 시장 점유만으로도, XRP는 90조 원 규모의 실물 유동성을 다루는 핵심 자산이 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XRP를 단순한 '가격'이 아니라, 디지털 금융 시스템 내에서의 역할과 존재 이유로 평가해야 할 때입니다.
이제는 구조가 바뀌고 있으며, XRP는 그 구조 속에서 ‘필수 자산’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Q5hrbQ45PZE&list=OLAK5uy_lcniEV96EmOdz3OtdKyqGE-AxNYUZmJYE
'리플 > 리플을 알면 미래 금융 세계가 보인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플·SWIFT 통합 임박?! SEC 소송 종결에 XRP ETF 기대까지🔥 (1) | 2025.04.16 |
---|---|
XRP, 스위프트를 대체할 수 있을까? (0) | 2025.04.15 |
2033년, 2경 5천조 시장을 잡아라 – 리플의 거대한 토큰화 퍼즐을 통한 ‘디지털 월가’ 완성 전략 (1) | 2025.04.09 |
리플 XRP가 2030년까지 보유할 가치가 있는 암호화폐인 이유 (1) | 2025.04.06 |
리플(XRP)의 최근 동향과 향후 전망 (0) | 2025.03.27 |